본문 바로가기

자동차 라이프스타일 TIP51

가변속도제한구간 의미와 운전방법은? 가변속도제한구간 의미와 운전방법 알아보기 가변속도제한구간 의미와 운전방법 가변속도제한구간은 도로나 기상 상황에 따라 실시간으로 도로의 제한속도를 조절하는 시스템이다. 안개, 비, 눈, 강풍 등 기상악화의 경우 안전하게 제동 할 수 있도록 제한속도를 낮추는 방식으로 1960년대 미국에서 처음 도입되었으며 우리나라에는 2011년 7월에 도입되어 현재까지 운영 중인 시스템이다. [도로교통법 시행규칙 제 19조] 구분 내용 최고속도의 20% 감속 주행 ① 비가 내려 노면이 젖어있는 경우 ② 눈이 20mm 미만 쌓인 경우 최고속도의 50% 감속 주행 ① 폭우, 폭설, 안개 등으로 가시거리가 100m 이내인 경우 ② 눈이 20mm 이상 쌓인 경우 ③ 노면이 얼어붙은 경우 가변속도제한구간 도입 계기 2015년 발생했.. 2023. 7. 12.
자동차 공동명의 신청방법과 장단점 알아보기 자동차 공동명의를 등록하는 이유는? 자동차 공동명의란? 자동차 공동명의란 두 명 이상의 명의를 공유하는 것을 의미한다. 지분율은 설정하기 나름이며 재산권행사 시 각자의 지분만큼 권리를 주장할 수 있게 된다. 보통 아파트와 같은 부동산 공동명의의 경우 50대 50으로 하는데, 자동차 공동명의는 1대 99로 한 사람 앞으로 몰아서 하는 경우가 많다. 신청방법 ① 필요서류를 준비하여 구청 세무과 또는 차량등록사업소 민원실 방문 ② 취득세 신고 및 납부 (차량 명의자 모두 방문 필수) 구분 준비물 차량 명의자 신분증, 차량등록증, 주민등록등본 대리인 신분증, 차량등록증, 주민등록등본 + 위임장 공동명의 장점 저렴한 의무가입 차량 등록 시 가입을 해야 하는 의무사항은 나이에 따라 정해지는데 나이가 어릴수록 금액이.. 2023. 7. 11.
거주자 우선주차 자격요건과 신청방법 거주자 우선주차 자격요건과 신청방법 알아보기 거주자 우선주차란? 거주자 우선주차란 주택가 이면도로 등 일정지역 내에서 주차칸과 번호를 매겨 지방자치단체에서 운영 및 관리하는 유료주차장인 개념이다. 주택가의 차량 소통을 원활히 하여 주차난을 해소하고 질서를 확립하기 위한 것으로 특별시장, 광역시장, 군수 또는 구청장 등 자치단체장이 설치 및 폐지를 결정하고 시행할 수 있다. 해당 주차구역 인근 거주자들은 상대적으로 저렴한 비용을 지불하고 월 단위로 주차 우선권을 배정받는 것이다. 우선순위 대상 1순위 해당 지역 인접 거주자 중 장애인 차량 및 국가유공자 2순위 해당 지역 입접 거주자 중 해당 동에 차량이 등록되어 있고 3년 이상의 거주자 차량 3순위 해당 지역 인접 거주자 중 해당 동에 차량이 등록되어있고.. 2023. 7. 7.
주행하기 전 확인하세요! 사이드미러 맞추는 법 초보운전자 필독! 사이드 미러 맞추는 방법 안전한 운전을 위해서 첫 번째로 차량 운전자인 내가 편하고 시야확보가 잘 되게끔 세팅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초보운전자의 경우 차선변경을 가장 어려워하고 두려워하는데 안전한 차선변경을 위해서는 사이드미러를 나에게 맞게 세팅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나에게 맞지 않은 사이드미러는 주변 차량의 진행 방향과 도로 상황에 대해 파악하기 어렵기 때문에 사고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오늘은 주행 전 사이드미러를 나에게 맞추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첫 번째. 시트 포지션 맞추기 ① 등받이의 각도를 조절해 주는데 너무 누워있으면 사고 시, 몸이 아래로 향하여 크게 다칠 수 있으므로 너무 눕히지 않고 곧게 세운 정도로 맞춰준다. ② 시트에 등을 붙이고 운전대의 .. 2023. 7. 6.
유아카시트 의무나이 언제까지일까? 유아카시트 의무나이와 위반 시 벌금은? 아이가 있는 가정이라면 유아카시트를 사용 중이거나 사용했던 경험이 있을 것이다. 차량 운행 시 카시트 사용이 현행 도로교통법에 따라 의무사항으로 고지되어 있으며, 카시트를 사용하지 않고 품에 안고 가다가 사고 발생 시 어린아이의 경우 체중이 가벼워 쉽게 튕겨져 나갈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런 불상사를 방지하고자 오늘은 카시트 사용 의무나이와 위반 시 벌금 및 올바른 카시트 사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카시트 의무나이와 벌금 2018년 도로교통법 개정안 시행으로 유아 카시트 관련 법규가 만들어졌다. 운전자와 동승인 좌석 안전띠 착용과 6세 미만의 영유아의 카시트 착용이 의무화되었으며 12세까지 카시트 착용을 권장하는 것으로 개정되었다. 의무나이는 나이별 평균 신장과.. 2023. 7. 5.
주유구 안 열림? 간단한 대처방법과 원인 알아보기 갑자기 자동차 주유구가 열리지 않는다면?운전을 하다 보면 다양한 문제와 당황스러운 상황을 부딪히게 되는데 그중 하나가 주유구가 열리지 않을 때이다. 기름을 채우려 주유구를 열려는 상황에서 갑자기 열리지 않을 때 상당히 난감하고 당황스러운 상황이다. 이 문제는 생각보다 많은 사람들이 겪어본 문제로 주유구가 안 열릴 때 어떻게 대처해야 할지 그리고 원인이 무엇인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주유구가 열리지 않는 원인 (1) 주유구의 노화로 인하여 부식 및 손상이 있을 경우 (2) 주유구 내부에 이물질일 들어간 경우, 중유구 고정장치 부분에 이상이 있을 경우 (3) 주유구가 제대로 닫혀있지 않은 경우 대처방법주유구가 갑자기 열리 않을 때 대처방법은 트렁크에 위치한 비상용 연료 도어 레버를 이용하면 된다. 해당 레.. 2023. 7. 5.
전기차 배터리, 어떻게 관리해야 오래 탈 수 있을까? 전기차 수명의 핵심! 배터리 관리방법 알아보기 최근 몇 년간 전기차가 보편화되면서 낯설지 않은 친숙한 이동 수단으로 자리 잡았다. 친환경적이고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전기의 힘으로 주행하는 차량이기 때문에 배터리의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한국에너지공단에 따르면 전기차 배터리 수명이 약 10년에서 최대 15년까지지만, 관리에 따라 20년도 넘을 수 있다고 한다. 안전하고 더 오래 타기 위해 전기차 배터리 관리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일정한 온도 유지하기 전기차는 고전압 배터리에서 전기에너지를 전기모터로 공급해 구동시키는 방식으로 대부분 리튬이온배터리를 사용한다. 리튬이온배터리는 관리가 쉬운 것이 장점이나 온도에 민감하기 때문에 지나친 고온이나 저온에 노출될 경우 배터리 수명이 감소하거나 효율이.. 2023. 7. 4.
여성 전용 주차구역, 여성이 아니어도 이용할 수 있다? 여성전용 주차구역, 남성도 이용이 된다? 주차장을 이용하다 보면 건물 입구와 근접해 있는 분홍색 주차칸을 본 적이 있을 것이다. 여성을 배려하는 취지로 만들어진 '여성전용 주차구역'이라는 것이다. 주말이나 연휴에 백화점, 상가, 쇼핑센터 등에 방문했을 때 일반 주차칸이 전부 차있고 일부 여성전용 주차칸은 비어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때 운전자가 여성이 아닌 남성이라면 이용할 수 없는 것인지, 만약 이용을 했다면 별도의 벌금 등의 처벌이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여성 전용 주차구역이란? 2009년 서울시에서 추진한 '여성이 행복한 도시 만들기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공공시설에 여성을 배려하기 위해 만들어진 공간이다. 상대적으로 약한 여성을 대상으로 한 성범죄나 기타 범죄를 막기 위해 만들어졌으며, .. 2023. 6. 30.
전기차 하이패스 50% 감면 받는 방법은? 장기렌트 · 리스의 모든 것 : 카이엠 렌트 · 리스의 A to Z, 최저가 비교견적 제공 www.carem.kr 전기차 하이패스 등록하고 50% 감면받기! 정부에서 환경보호 및 친환경 차량에 대한 지원으로 전기차가 많이 증가하였다. 또한 고속도로 하이패스 50% 감면혜택이 2022년에서 2024년으로 연장되어 전기차 오너 또는 전기차 구매 예정인 사람들은 놓치지 않고 50% 혜택을 받아보길 바라며 감면 혜택 받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한국도로공사 고속도로 영업소 방문 전기차를 구매하면 자동으로 감면 혜택이 적용되는 것이 아니다. 한국도로공사 영업소에 방문하여 등록을 먼저 해야 한다. 한국도로공사 영업소는 본사가 아닌 각 고속도로에 있는 톨게이트 지점에 있는 사무실로 지도에 '한국도로공사 영업소.. 2023. 6. 27.
자동차 교통사고, 이렇게 대처하세요! 장기렌트 · 리스의 모든 것 : 카이엠 렌트 · 리스의 A to Z, 최저가 비교견적 제공 www.carem.kr 교통사고 대처방법과 12대 중과실 알아보기 대부분의 사람들이 성인이 된 직후 가장 먼저 하는 일이 운전면허 취득일 것이다. 긴장되지만 기대와 설렘을 안고 초보운전을 하다 보면 크고 작은 사고가 발생하기도 한다. 교통사고가 발생했을 때, 당황하여 횡설수설하다 보면 억울한 일을 겪거나 자칫 2차 사고의 위험도 있기 때문에 사고 발생 시,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교통사고 발생 시, 대처방법 ① 즉시 정차 후 삼각대 설치하기 교통사고 발생 시, 즉시 정차 후 비상등을 점등하고 안전 삼각대를 설치해주어야 한다. 낮에는 후방 100m, 밤에는 후방 200m 앞에 설치해 두도록 .. 2023. 6. 27.